평소에 장례식장에 가는 일이 잦지 않기 때문에 조문 예절은 언제나 어렵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문 예절에 대해 총정리해보겠습니다.
조문 인사말 예시
조문을 할 때 어떠한 말을 건네서 위로해야 할지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다음은 조문 상황별 위로할 수 있는 인사말 예시입니다
상주의 부모인 경우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환중이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뵈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
-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망극(罔極)이란 말은 부모상에만 사용합니다.
상주의 아내인 경우
-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 “옛말에 고분지통(叩盆之痛)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하십니까?”
※고분지통은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의 고사에서 나온 말
상주의 남편인 경우
- “상사에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천붕지통(天崩之痛)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천분지통은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상주의 형제인 경우
-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백씨(伯氏)는 남의 맏형의 존댓말, 중씨(仲氏)는 둘째 형의 높임말, 계씨(季氏)는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입니다.
※할반지통은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입니다.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 “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참척은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 앞서 죽은 일, 참경은 끔찍하고 참혹한 광경이란 뜻
조문 순서
빈소에 도착하면 먼저 상주에게 경례를 하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문합니다.
1. 고인을 잘 아는 경우에 한해서,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향 세 가닥을 왼손으로 잡고 향을 피웁니다. 향로 옆에 촛불이 없을 경우에는 성냥 등을 이용하여 불을 피웁니다.
이때 제단 위의 양초 불로 향을 지피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향불을 가볍게 잡아서 끈 다음, 두 손으로 향로에 꽂습니다.
이때 입으로 불어서 끄는 것은 좋지 않으며, 고인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향을 피우는 것도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생략하면 됩니다. 고인과 친분이 있는 경우에는 잔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2. 잠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그 후 재배를 하되, 여성은 사배를 합니다.
3. 남상주를 향해 마주 선 후 절을 하고 엎드린 상태에서 애도의 뜻을 간단히 전합니다. 반대편에 여상주가 있을 경우에도, 여상주를 향해 동일한 방법으로 합니다.
조문객의 옷차림
남자는 검은색 양복에 흰색 드레스셔츠(와이셔츠), 넥타이와 양말 그리고 구두는 검정색이 무난합니다.
여자는 검정색 상의에 검정색 스커트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며 검정색 구두에 무늬가 없는 검정색 스타킹, 그 외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은색으로 통일시키면 좋습니다.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요란한 액세서리 등의 착용은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갑자기 연락을 받아 복장이 준비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두운 색 계열의 옷을 입으면 됩니다.
조문 가는 시간
부고를 받고 즉시 달려가서 도와주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염습이 끝나고 성복(成服) 후에 문상(問喪)을 가는 것이 예의에 맞습니다.
그러나 현대식 장례에서는 염습 후에 성복을 하는 예를 지키지 않고 장례의 첫날부터 상복을 입고 조문객을 맞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장례 첫날부터라도 적절한 시간을 이용하여 조문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단, 일반적으로 장례 둘째 날에 입관 예식이 있는데, 이 경우 상주들이 빈소를 지키지 못하므로 입관 예식 시간을 피해서 조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가피한 사정으로 문상을 갈 수 없는 경우에는 편지나 조전을 보냅니다. 부고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문상에 오지 않았거나 조장(弔狀) 또는 조전(弔電)조차 보내오지 않은 사람과는 평생 동안 말이나 대면을 하지 않는 풍습이 전해져 오고 있으니, 어떤 방법으로든 조의를 표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 절 하는 법
상가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수법(拱手法)을 사용하여 예를 표합니다. 공수란 양손을 자연스럽게 모아 맞잡는 자세로 웃어른 앞에서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손의 손가락을 붙여서 자연스럽게 편 다음 앞으로 모아 포개게 됩니다. 엄지손가락은 깍지를 끼고 나머지 네 손가락은 포개면 됩니다. 이때 네 손가락은 지그시 쥐어도 좋습니다. 공수한 손의 엄지가 배꼽 부위에 닿게 내려가도록 합니다.
보통 남자의 경우에는 왼손이 위로 올라가고, 여자의 경우에는 오른손이 위로 올라가도록 합니다. 하지만 조문 시에는 반대로 행동합니다. 즉,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올라가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