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의금을 내야 할 때에 가장 고민스러운 것 중 하나는 바로 조의금 봉투 쓰는 법입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이라면 이런 조의금 예절이 더욱 익숙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조의금 봉투 쓰는 법과 조의금을 정하는 방법과 조의금 예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의금 봉투를 잘 쓰는 방법
조의금을 봉투에 넣은 후 봉투에 어떤 글자를 기재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잘 봐주시기 바랍니다.
보통 조의금 봉투의 앞면에는 문구를, 뒷면 왼쪽 아래에는 세로로 부조를 하는 사람의 이름을 씁니다.
앞면에는 아래와 같은 문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한문으로 쓰시면 됩니다.
- 부의(賻儀)
- 근조(謹弔)
- 추모(追慕)
- 추도(追悼)
- 애도(哀悼)
- 위령(慰靈)
일반적으로는 부의(賻儀) 또는 근조(謹弔)를 많이 사용합니다.
봉투 뒷면에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는 봉투 뒷면 오른쪽 가운데에 써야 합니다.
조의금 뒷면에는 이름을 쓰는데 조의금 뒷면 왼쪽 아래에 자신의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이름은 반드시 세로로 적어야 합니다.
소속된 곳의 이름을 적으려면 이름 옆에 적으면 됩니다. 직장인의 경우 나중에 상주가 조의금을 구분하기 좋도록 자신의 소속을 써 두는 것이 좋습니다.
조의금 봉투는 알록달록하고 화려한 봉투나 안의 금액이 비치는 봉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깔끔한 흰색 봉투를 사용하는 것이 예의라 할 수 있습니다. 봉투가 안이 비치는 경우라면 속지를 사용해서 안의 돈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한 봉투에 조의금을 낼 경우에는 일일이 이름을 적기가 어렵습니다. 이럴 때에는 대표 1명의 이름을 적거나 ‘OOO 외 몇 명’식으로 적습니다. 또한 상주가 알아볼만한 회사나 소속이 있다면 소속회사나 부서이름을 쓰고 일동이라고 하면 됩니다.
참고로 결혼식 축의금의 경우는 앞면에 아래와 같은 문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한문으로 쓰시면 됩니다.
- 축결혼(祝結婚)
- 축화혼(祝華婚)
- 축성전(祝成典)
- 축성혼(祝聖婚)
- 하의(賀儀)
조의금 금액 정하는 방법
시대에 따라 금액은 조금씩 다르지만 금액을 정하는 방법은 보통 정해져 있습니다. 보통 조의금을 낼 때는 3만 원, 5만 원, 7만 원과 같이 ‘홀수’ 단위로 내는 게 올바른 예절입니다.
이는 예로부터 내려온 음양오행론에 따른 것인데 홀수는 양, 짝수는 음을 상징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기운을 받기 위해 홀수로 내는 것입니다.
참고로 10만 원을 내는 경우는 짝수지만 3과 7이라는 홀수가 만난 숫자이기 때문에 길한 숫자로 생각합니다. 또한 수표를 넣는 것 또한 예의에 어긋나는 행위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조의금과 부조금의 차이
조의금(賻儀金)은 부조금(扶助金)이라는 단어로 통칭되기도 하는데 둘의 의미는 조금 다릅니다.
조의금은 좋지 않은 일이 있을 때에 내는 돈을 말하는 것이고 부조금은 축하하거나 위로하는 의미로 내는 돈을 통칭해서 쓰는 말입니다.
장례식장에서 조의금 예절
조의금을 낼 때에는 처음 예실 앞에 있는 접수대에 방명록을 적고 조의금을 전달합니다. 예실에서 상주에게 직접 조의금을 전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입니다.
조의금은 반드시 예실에 들어오기 전 방명록을 쓸 때에 부조를 받는 이에게 전달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