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흑자가 많으면 즉 수출이 수입보다 훨씬 많았다는 건데, 우리나라 영업사원들이 일을 제대로 잘했다는 뜻이겠지요. 이 글에서는 무역과 장사의 차이 그리고 무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각종 신고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무역이란?
무역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나라와 나라 사이에 서로 물품을 매매하는 일”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보통 우리는 해외로 제품을 판매하는 수출과 해외의 제품을 구매하는 수입을 무역이라고 합니다.
무역과 장사
무역과 장사는 어떤 점에서는 거의 유사합니다. 즉 장사하는 사람은 제품을 어떻게 보내고(배송방법), 배송 중 생기는 문제는 어떻게 처리하며(배송책임), 좋은 제품을 어떻게 구매하고(소싱), 어떻게 홍보를 해서 잘 판매할까(마케팅) 고민합니다.
무역도 장사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수출이나 수입을 하기 위해 비행기나 선박을 이용한 운송방법을 알아야 하고(배송방법), 배송 중 생기는 문제에 대해 어느 선까지 책임지겠다는 것(배송책임, 인코텀즈)을 수출자 혹은 수입자와 협의해야 합니다.
또한 수출을 위한 홍보(마케팅)나 좋은 제품을 구매하는 방법(소싱)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출입국신고, 수출입신고, 입금·송금신고
국내에서 하는 장사와 무역의 차이점을 찾자면, 통관을 모르면 수출입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모든 나라는 자기 나라에 들어오거나 나가는 모든 사람·물건·돈에 대해 검사합니다.
사람에 대한 검사를 출입국검사라 하고, 제품에 대한 검사를 통관 혹은 통관검사라고 합니다.
출입국신고
국가는 안보나 경제 혹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 사람이 왜 우리나라를 들어오고 나가는지 확인하려 하고(출입국검사), 방문자는 출입국신고서를 작성해 여권과 비자를 제출하는 것으로 출입국신고를 합니다.
수출입신고
국가는 물건도 왜 이것이 우리나라를 들어오고 나가는지를 알려고 하는데(통관 혹은 통관검사), 이때 수입자 혹은 수출자는 인보이스, 패킹리스트 등의 서류를 제출해 수출입신고를 합니다.
입금·송금신고
돈도 국가는 이 돈이 왜 들어오고 나가는지를 파악하려고 하고, 이때 돈을 받는 사람이나 보내는 사람은 그 돈이 왜 나가고 들어와야 하는지 그 근거를 서류로 제출합니다.
즉 해외에서 들어온 돈이 수출대금이라면, 수출자는 수출신고필증이나 계약서 등을 은행에 제출해 해외에서 들어온 돈의 출처를 신고합니다. 은행은 이러한 증빙서류를 모아놨다가 국가기관에서 은행감사 등을 할 때 제출합니다.
유통경로
보통 제품이 소비자에게 가기까지의 과정을 장사에서는 유통경로라고 하고, 무역에서는 수출입과정이라고 합니다. 수출입과정은 일반인들에게는 많이 생소합니다.
수출입과정
비교적 단순해 보이는 장사와 달리 무역은 나라에서 나라로 배송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출자가 준비한 제품을 수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이 때로는 까다롭고 복잡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무역의 유통경로는 장사보다는 복잡하고, 다양한 비용이 발생합니다.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말처럼 이러한 수출입과정을 모르고 무작정 뛰어들면 몇 푼 벌려다 더 큰 손해가 날 수도 있습니다.
무역을 하기 위해서는 유통경로, 운송방법, 통관, 운송료와 인코텀즈(운송료와 운송시 발생하는 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지 정하는 무역용어), 보험, 결제방법, 수출마케팅, 수입소싱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더불어 통관을 통과하기 위해 각종 서류를 작성하는 방법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