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영 중인 JTBC 드라마 ‘나의 해방 일지’에서 ‘다말증’에 대해 간단히 소개되었습니다. 다말증이란 입에 모터가 달린 것 마냥 쉴 새 없이 말을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말증의 증상과 극복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의미 없이 흘러가는 말, 듣고 싶은 소중한 말, 정직한 말 등.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말은 ‘너무 많은 말’이입니다.
작중 염창희(이민기 분)는 옆자리 정선배(최보영 분)의 끊임없이 쏟아지는 말을 들으며 괴로워합니다. 염창희는 정선배 더러 ‘다말증’ 환자라며 하소연하는데 말이 너무 많은 것을 ‘다(多) 말-증’이라며, 일종의 증상으로 규정하는 것입니다.
다말증 증상
정신건강의학에서는 과도한 말하기 증상을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있습니다.
- 압력 언어: 강요받은 것처럼 빠르고 격양된 말하기
- 과장된 언어: 빠르게 점점 많아지는 말하기
- 와해된 언어: 논리적인 흐름이 맞지 않는 혼란스러운 말하기
이러한 형태의 과도한 말하기는 정신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말을 지나치게 많이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질환은 양극성 성격 장애, 자기애성 인격 장애, 주의력 결핍 장애(ADHD), 조현병 등이 있습니다.
만약 과도한 말하기 증상과 함께 신체적, 정신적 이상 증상이 동반된다면 병원에 방문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다말증 확인을 위한 체크리스트
본인 스스로 과다한 말이 문제라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 자신의 말이 너무 많은지 확인하는 몇 가지 체크리스트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 내가 말을 시작할 때 상대방이 ‘저는 시간이 얼마 없어요.’ 혹은 ‘바쁘니까 짧게 이야기해주세요.’라고 말한다.
- 주변 사람들이 나와 대화하기를 꺼리는 것 같다.
- 사람들이 내 말에 무관심한 것처럼 보인다.
- 내가 말할 때 주로 고개를 끄덕이거나 내 이야기에 ‘그래’, ‘응’, 네’와 같은 말로 반응한다.
- 종종 다른 사람의 말을 자르거나 방해한다.
- 의도했던 것보다 더 많이 말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비밀로 해달라는 내용을 발설해 버린다.
위의 설명 중 대부분에 해당한다면 자신이 말을 너무 많이 하는 것은 아닌가 의심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다말증 극복 방법
‘말’은 자신을 드러내고 사람과 소통하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너무 많은 말은 상대방을 지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1. 대화의 균형 맞추기
대화는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평소 말을 많이 하는 편이라면, 대화할 때 자기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질문’으로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또 상대방이 말할 때 다음에 무슨 말을 할지 생각하기보다는 그 사람의 말을 온전히 ‘듣기’를 연습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상대방이 말할 때 방해하지 말고, 질문이 있다면 그들이 말을 끝내고 자연스러운 틈이 생길 때까지 기다려 보길 바랍니다.
2. 침묵에 익숙해지기
어떤 이들은 대화가 멈추는 것을 불안해합니다. 이는 대화가 이어지지 않는 시간을 지루하다고 느끼며, 그 시간을 관계가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침묵은 나쁜 것이 아니므로 생각을 정리하고, 대화 중에 쏟은 에너지를 다시 채우는 시간이라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조용히 혼자 시간을 보내게 된다면, 그때 떠오르는 생각들을 수첩에 정리해 보세요. 생각을 정리하면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비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말하기 전에 생각하기
말하기 전에 그 말의 파급에 대해 미리 생각해보는 것은 늘 중요합니다. 좋은 대화를 위해 자신이 하려는 말이 이전에 한 말과 같은 말은 아닌지, 이 말을 사람들과 나눠도 좋은지 등에 대해 미리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말하기 전에 심호흡을 통해 마음을 다잡으면 머릿속에 떠오르는 모든 생각을 말로 쏟아내는 습관을 고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