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무상감자라는 단어에 대해서 들어신적이 있을 거예요. 무상감자 이야기가 나오면 주가가 출렁이기도 하는데요. 이 글에서는 무상감자의 정의 및 무상감자를 하는 이유 그리고 무상감자가 과연 호재인지 악재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무상감자란?
일단 감자라는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자는 자본을 감소시킨다라는 의미입니다. 증자와는 반대되는 개념이지요. 감자는 결국 주식이 강제 소각되는 것입니다.
무상감자를 하는 이유
무상감자를 실시하는 이유는 대부분 회사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 진행합니다. 무상감자를 하게 되면 회사의 자본금이 줄어들게 됩니다. 자본금을 줄이면 재무구조가 개선이 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자본금을 줄이면 자본 잠식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본금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것 자본잠식이라고 합니다. 자본금은 회사 초기 주주들의 투자금입니다. 회사 운영을 통해 이익이 발생하면 회사의 자기 자본으로 쌓입니다.
하지만 회사의 적자 발생하면 이 자기 자본을 통해 만들어 놓은 잉여금이 마이너스가 되게 됩니다. 잉여금이 0이 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적자가 발생하면 자본잠식이 시작됩니다.
자본 잠식이 50% 이상이면 해당 주식은 관리 종목으로 지정되고 2년 연속 50% 이상이면 상장폐지 수순을 밞게 됩니다.
이 상장폐지를 피하기 위해서는 자본잠식을 해소시켜야하며 자본잠식을 해소시키는 방법은 바로 자본금을 줄이면 자본잠식을 50% 이하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지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익을 발생시켜 잉여금을 늘리면 좋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자본금을 줄이는 무상감자를 실시하게 됩니다.
무상감자는 호재?
무상감자가 발생하면 호재라고 생각하고 매매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무상감자는 이론적으로는 발행된 해당 주식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주가가 올라가는 경우가 생깁니다.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볼 때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줄어들면 가격이 올라가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하지만 무상감자를 하는 경우는 회사의 재무상황이 긍적적인 이유는 아닌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재무상태가 부정적이기 때문에 상장폐지를 할 바에는 무상감자를 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해당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한다 하더라도 보통은 폭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상감자는 회계적인 이슈입니다. 자본총계의 자본금에 해당하는 항목이 자본잉여금으로 항목을 바꾸어 자본잠식을 방지하는 것이는 것입니다. 주식 투자 시 유의해야겠습니다.
투자 유치를 위한 무상감자
재무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무상감자를 실시하기도 하지만 투자금 유치를 위해 무상감자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무상감자가 실시하기도 합니다.
대주주의 주식을 소각시키면서 새로운 대주주가 탄생하여 회사를 인수하기도 합니다.
출자전환과 무상감자
출자전환이란 은행이 기업에게 빌려준 대출을 주식으로 전환하여 기업의 부채를 줄이는 것입니다. 무상감자를 통해 출자 전환을 함으로써 기업 입장에서는 이자를 갚지 않게 되는 효과가 생기고 은행은 해당 기업의 새로운 주주가 되는 것입니다.